표 3 도시재생 평가 관련 선행연구

연구자(연도) 연구대상 및 방법 주요 내용 지표연구 실제적용
사업 평가 Riera Pérez et al.(2018) 스위스 재생사업지구 의사결정모델 개발 (시나리오 분석)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최적 시나리오 제시(3개 시나리오)
Chan and Lee(2007) 홍콩 도시재생사업 AHP 경제적, 사회적 환경지속가능성 지표 제시
Chan and Lee(2008) 홍콩 도시재생사업 AHP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표 제시
Yang(2018) 중국 산업단지 재생 지표 분석 생태, 경제, 사회문화평가지표를 통한 재생전략 제시
지표개발과 적용 Williand and Dair(2007) 영국의 재개발사업 경제, 사회, 환경지속가능성 지표 제시
Wedding and Brown(2007) 사업지구단위 재래사업 환경, 재정, 사회경제 및 거주적합성 지표 제시(40개)
Hemphil et al.(2004) 지속가능 차원에서 지표 체계 구성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5개 부문별 지표 제시
Hemphil et al.(2004) 재생사업지구에 적용 6개 재생지구에 개발된 지표를 적용
Calantonio and Dixon(2009)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개발 인구, 교육 등 10개 부분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Turcu(2012) 영국 주택재개발사업지구의 평가지표 작성과 적용 사례지구의 부문별 도시지속가능성 평가
Cheng and Lin(2018) 타이완 도시재생사업 AHP 재생사업지구 적용 지표개발과 가중치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