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조사 내용 | |
---|---|---|
대상지 | 재생지역의 | 도시재생 지역은 대체로 열악 쇠퇴지역 주민은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경우가 많음 지역의 경제활성화에 자신이 있어야 들어올 수 있음 |
사업성에 대한 | HUG의 입장에서도 원리금 상환에 대해 걱정이 많을 수 있어 적극적이지 않을 수 있음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라는 쇠퇴지역에서 수익 창출은 쉽지 않음 | |
홍보 및 | 홍보 및 전달체계 | HUG의 적극적 홍보와 지원을 경험하지 못함 도시재생씨앗융자 상품이 널리 알려지지 못함 홍보 미비와 더불어 전달체계가 없음. 융자상품을 잘 활용할 수 있을 사업주체들과 연결이 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문제임 |
도시재생씨앗융자에 | 융자사업의 전달은 주로 HUG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주민, 지자체 모두 융자에 대한 이해와 정보가 부족함 | |
도시재생지원센터의 | 재생지원센터는 마중물 사업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고 있음 도시재생씨앗융자는 민간 영역이므로 센터의 개입은 적절치 않은 것으로 생각함 | |
실행 단계 | 융자상품에 대한 낮은 선호도 |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도시재생사업은 보조금 지원사업으로 인식하기에 되갚아야 하는 융자사업에 대한 선호도가 낮음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할 가능성이 큼. 다만 최근 대출금리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대적 매력을 느낄 가능성은 커지고 있음 |
심사 및 조건의 까다로움 | 융자를 받으려 해도 조건과 심사기준이 까다롭기에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사업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사업성과 지속가능성, 즉시성임. 사업비가 필요한 시점에 자금이 조달 되어야 하기에 심사가 너무 길어지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