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국내외 모니터링 선행연구

저자 연도 주요 내용
이종열 2003 GIS를 활용하여 국내 모니터링 체계 구축 모형 실증화
배영남․신남수 2008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정책, 환경, 기능, 자원요인에 대하여 재생관련 평가요인 구분
박대근 외 2009 도심재생사업 평가의 계획요소 분석물리․환경분야와 그 하위 항목인 도심주거정비가 중요 항목
유재윤 외 2010 일본의 평가체계를 우리나라 정책사업에 반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인구, 취업자수 변화, 교통기반시설 변화, 대도시 접근성) 설정
최정민․최찬환 2011 용수․친수 여건, 고속도로 접근성 등 조시재생지표 설정
최민아 외 2013 일자리 지원, 경제발전, 취업, 건강예방, 치료, 교육, 주택 등 프랑스 모니터링 지표의 국내 적용안 제시
김륜희 외 2015 서울, 부산, 창원의 모니터링 및 평가지표 선정모니터링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모듈평가 방식 필요성 제시
정광진 외 2017 영국 NDC 평가지표, 전주․창원 테스트베드 평가지표 분석우리나라 13개 도시재생선도지역 평가지표 제시(상주인구, 카드매출액, 건축인허가 등)
이삼수 외 2018 도시재생 모니터링의 장․단점 및 도시재생선도지역의 객관적 지표에 따른 수행성과 평가 제시
주현태·이삼수 2018 선행연구의 모니터링 지표(사회적․경제적․물리적 측면)를 적용하여 13개 선도지역에 시범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