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도시공원 관련 인구·사회학적 요인

저자(년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신지영(2010) 저소득계층 비율비숙련가장을 둔 주민 비율가옥비소유 주민 비율과잉밀집가구 주민 비율자동차 비소유 주민 비율남성실업 비율
배민기·김유리(2013) 토지가격추정소득분위
김용국(2015)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12세 미만 어린이 비율주택개별공시지가국민기초생활 수급자 비율인구밀도
문지영·반영운(2015) 인구수추정소득분위토지가격
김용국(2019) 인구밀도노인인구 비율유소년인구 비율핵심생산가능인구 비율재정자립도국민기초생활수급자 비율고등교육인구 비율걷기실천율비만율우울감 경험율스트레스 인지율폭염 취약성 지수홍수 취약성 지수미세먼지 취약성 지수
강영은 외(2020) 공원면적인구밀도지하철직선거리인접공원간거리경사도
이정연·이형숙(2021) 전체 인구노인 인구소득 500만 원 이상 비율기초수급자 수기초수급률대졸 이상 학력 비율
문지영(2022) 인구밀도총 인구경제활동인구 비율도시개발사업 총면적지역내총생산재정자립도기초생활수급자 비율
이우성(2022) 주거형태(공동주택/단독주택)신체활동(보행활동 일)거주지 주변 환경인식 인자(보행 편의성/환경 쾌적성/보행 안전성/녹지 접근성/ 시설 접근성)
문지영(2023) 총 인구수10대 인구비율20대 인구비율60대 인구비율지가소득분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