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0 전문가 인터뷰 결과(요약)

구 분 주요 내용
사회적 논의 및관련 정보 공유확대

전통적인 ODA 외에 민관협력/기업 사회공헌 차원의 접근 확대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고용 안정성 보장을 위한 사회적 논의 확대

민간 부문 직업 정보 체계화 및 관련 공유 확대

해외 파견 시에 개발도상국의 열악한 환경과 더불어 근로기준 등 노동자의 권익이 보호되지 않는 상황 개선 논의

전문직 일자리창출 및 확대

ODA 행정, ODA 홍보, ODA 회계 등 개발협력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 고민 필요

분야별, 지역별, 주제별 R&D 기관을 강화하여 전문직 고용 확대

민관협력사업 또는 민간재원동원사업 등 혁신적 사업 방식 확대를 통한 폭넓은 전문직 고용 창출

전문가 양성 방안 및 중장기 로드맵 마련

금융, 클레임 전문가, 글로벌 ESG 경영 관련 규제·정책 전문가, 건설의 디지털화와 원격 작업을 위한 전문가 육성방안 마련

언어능력(영어 및 현지어), 해외건설 경력, 지출 국가 이해도(법/제도, 문화 등), 전문 분야 역량 확보에 필요한 인력 양성에 대한 중장기 로드맵 제시

청년들의 해외 현장 훈련을 지원하는 ‘현장 훈련 지원사업’, ‘공기업 인턴 지원사업’ 등을 통한 청년 인력 육성 필요

우리나라 무상 ODA 프로젝트에 개발도상국 청년들이 더 많이 참여하고, 역량을 키워 현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일하는 인재로 육성할 수 있는 방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