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 규정

파일 다운로드

논문 투고 신청서 논문 작성 샘플 저작권 위임 동의서 및 연구윤리서약서 특수관계인 논문 공저 신고서 투고 논문 심사 의견서 심사위원 서약서

논문작성기준

1. 논문작성양식

① 원고 분량은 A4용지 25페이지 내외로 하며, 한글(HWP) 또는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다.

② 원고 구성은 표지(국문초록, 국문 핵심주제어), 본문, 참고문헌, 부록, 영문초록, 영문 핵심주제어 순서로 한다.

③ 원고의 표지에는 논문 제목, 국문초록, 국문 핵심주제어를 표기하며, 저자 및 소속은 별도의 ‘논문 투고신청서’에 작성한다. <개정 2020.8.25.>

(예)
논문제목
제1저자명*, 공동저자명**, 교신저자명***
<요약>
국문초록에 해당하는 내용을 500자 내외로 작성합니다.
핵심주제어 : 주택시장, 주택금융, 보증보험, 리스크헷지, 리스크관리
 
* (제1저자) ○○대학교 ○○학과 교수, email : ○○@○○.com
** (공동저자) ○○대학교 ○○학과 교수, email : ○○@○○.com
*** (교신저자) ○○대학교 ○○학과 교수, email : ○○@○○.com
※ 공동저자가 교신저자인 경우에는 교신저자로 명시

④ 논문제목의 부제목이 있을 시 “:” 기호로 시작하고 주제목과 행을 분리한다.

⑤ 국문초록은 본문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500자(띄어쓰기 포함) 내외로, 영문초록은 국문초록에 준하여 작성하되 논문의 연구주제, 방법론, 그리고 연구결과를 충실히 반영하도록 적절한 표현으로 작성하고, 각 초록 하단에 5개 이내의 핵심주제어를 선정하여 기재한다.

※ 적절한 표현이란 추상적인 표현을 지양하고, 초록을 통해 논문의 핵심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표현을 의미함.

⑥ 원고 용지는 아래와 같이 편집한다.

용지여백 글자크기 및 문단설정
위 여백 45 제목 글자크기 20
아래 여백 45 본문 글자크기 11
왼쪽 40 논문초록 및 핵심주제어 글자크기 9
오른쪽 40
머리말 12 각주 글자크기 8
꼬리말 0 행간크기 170

⑦ 원고 전체에 적용되는 글자모양은 신명조로 통일한다.

⑧ 원고의 본문, 각주, 참고문헌 등에는 투고자의 이름 외 투고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공란 없이 삭제하여 제출한다.

⑨ 본문의 장절구분은 Ⅰ, 1, 1) (1), ①, 가의 순서로 하며, 본문 및 각주는 완전한 문장으로 작성한다.

⑩ 표와 그림의 제목에는 장․절별 구분 없이 각각 일련번호(e.g. <표 1>, <그림 1>)를 매겨 각각 표와 그림의 중앙에 배치하고, 자료 출처는 표 밑 좌측에 배치한다.

⑪ 식(Equation)은 수식편집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행에 가운데 정렬로 놓고, 행의 오른쪽 끝에 일련번호를 붙인다. (e.g. <식 1>)


2. 본문 주와 참고문헌

① 인용․참고한 자료의 출처를 밝히는 참고주(Reference notes)는 본문 내 해당 부분에 괄호를 이용하여 저자명과 출간년도를 표기하고(e.g. 홍길동, 2005), 상세사항을 정리한 참고문헌(Reference list)은 논문의 끝부분에 독립된 장에 별도로 작성한다. 저자가 1명 또는 2명인 경우에는 모두 기입하고, 3명 이상인 경우에는 외 또는 et al.을 붙인다(e.g., 김철수, 2010; 이사라․김철수, 2005; 홍길동 외, 2008; Back, 2005; Hong and Kim, 2019; Hong et al., 2013). <개정 2020.8.25.>

② 본문의 내용에 설명을 부연하기 위한 내용주(Content notes)는 장․절별 구분 없이 해당 부분의 오른쪽 위에 일련번호를 매기고, 페이지 하단에 각주로 처리한다.

③ 본문에 인용․참고한 참고문헌은 제1저자명의 성(Family Name)을 기준으로 국내 및 동양문헌의 경우 가나다순, 서양문헌의 경우 알파벳순으로 기재한다.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헌은 참고문헌에 포함되지 않는다.

④ 저자가 여러 명일 경우, 국내 및 동양문헌의 경우 가운데 점(·)으로 구별하고, 서양문헌은 and를 이용하여 저자를 구별한다. <개정 2020.8.25.>

⑤ 참고문헌은 작성은 APA Style(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국심리학회) 6판을 따른다. <개정 2020.8.25.>

⑥ 같은 저자의 여러 문헌은 연도순으로 배치하며, 같은 해에 발간된 문헌이 둘 이상일 경우에는 참고문헌에 인용된 순서에 따라서 출판연도 뒤에 2015a, 2015b, 2015c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한다. <개정 2020.8.25.>

⑦ 신문기사, 온라인 자료는 국문은 가나다순, 영문은 알파벳순으로 기재한다. <개정 2020.8.25.>

⑧ 참고문헌의 기재 순서는 국문문헌, 영문문헌, 기타언어의 문헌으로 기재한다. <개정 2020.8.25.>

⑨ 이상의 원칙과 함께 인용문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개정 2020.8.25.>

⑩ <삭제 2020.8.25.>

(예)
참고문헌

<단행본>
저자․저자. (출판연도). 도서명. 지역: 출판사
Author, A. A., Author, B. B., & Author, C. C. (year). Title of work (xx ed., Vol. xx). Location: Publisher.
Author, A. A. (year). Title of work. In A. Editior, & B. Editor (Eds.), Title of book (xx ed., Vol. xx, pp. xx-xx). Location: Publisher.

이하일. (2012). 금융학개론. 서울:와우패스.
Glaeser, E. L. (2012). Urban public finance. Cambridge, M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학회지 등 정기간행물>
저자․저자. (출판연도). 논문명. 학술지명, 권(호), 쪽 수.
Author, A. A., Author, B. B., & Author, C. C. (year). Title of article. Title of Periodical, volumn(issue), page range.

봉인식․최혜진. (2019). 주거지원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PROMETHEE 모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탐구: 경기도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주택도시금융연구, 4(2), 5-25.
Colenbrander, S., & Barau, A. (2019) Planning and financing urban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the climate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ustainable Development, 11(3), 237-244.

<정부, 기업 등의 보고서>
저자. (출판연도). 보고서명(Report No. XXX). 지역: 발행처.
Author, A. A. (year). Title of work (Report No. XXX). Location: Publisher.

서울특별시. (2008). 2008년 서울시통계연보. 서울: 서울특별시.
World Bank. (1985). Uganda - Report on urban finance and management (Report No. 5322-UG). Washington, DC: World Bank.

<학위논문>
연구자. (수여년도). 논문명(학위명). 수여기관명, 소재지.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thesis (Type of thesis). Institution, Location.

홍길동 (2010) OO연구: OOO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OO대학교, 서울.
Jackson, J. B., 2003, OO Study (Ph.D. Dissertation). Yale University, New Haven, CT.

<신문기사>
기자명. (발행일자). 기사제목. 신문명. Retrieved from URL

홍길동. (2018년 12월 31일). 현정부의 부동산정책. xx일보. Retrieved from URL

<온라인자료>
저자명. (발행일자). 전자문서명 [Website]. Retrieved from URL
Author, A.A. (Date of publication). Title of website [Website]. Retrieved from URL

김영희. (2018년 11월 20일). 도시재생뉴딜 그 시작 [Website]. Retrieved from http://www.navernews. com/ko/re


2024년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선정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주택도시금융연구'가
한국연구재단의 2024년도 신규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습니다.

등재지 선정을 위해 수고하고 애써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드리며,
아낌없는 헌신과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좋은 원고 투고를 부탁드리며, 등재학술지로서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
주택도시금융연구 2025년 상반기 논문 모집 안내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